| 12월 | 영화공간 주안 |
| 2일 | 화요일 4관 |
| 7:00 | 개막식 당신이 있어, 흐르는 개막영상 인천인권영화제 트레일러 개막사회 남웅* 퀴어팔레스타인연대 QK48 허철녕* 윤석열 퇴진 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시민 미디어팀 희우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 30주년 메시지 개막작 에디 앨리스: 테이크 Edhi Alice: Take K KS KSL 130′ 개막작 에디 <앨리스: 테이크>의 대화의 시간은 이야기 마당으로 12월 7일 3시에 영화공간 주안 3관에서 진행됩니다. |
| 12월 | 영화공간 주안 |
| 2일 | 화요일 3관 |
| 4일 | 목요일 3관 . |
| 4:00 ~6:00 | 포럼 : 다큐멘터리, 인권영화의 가능성 : 연출, 제작, 상영, 배급주체들이 말하는 현장의 쟁점 및 과제 김일란 퀴어 페미니스트 미디어 그룹 연분홍치마 박소현 한국독립영화협회 성평등위원회, 여성감독네트워크 허철녕 반짝다큐페스티발 하샛별 현장을 지키는 카메라에게 힘을 |
| 7:30 | 무색무취 Cololess, Odorless Sori, I’m Sorry. K M E T KS 55′ * 대화의 시간 이은희 감독 이종란 반도체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상임활동가 신석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
| 6일 | 토요일 4관 |
| 1:30 . . . . | 마당이 두 개인 집 A House with Two K KS 74′ 설수안 감독 |
| 4:10 | 이어달리기 K KS 88′ * 대화의 시간 고효주 감독 김동수 김형숙 주인공 채은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
| 7:00 | 착지연습 Grounding K KS 107′ * 대화의 시간 마민지 감독 오매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 희우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
| 12월 | |
| 7일 | 일요일 4관 |
| 2:20 | 상처받은 땅에 관한 이야기들 Tales of Wounded Land A KS KSL 120′ * 대화의 시간 뎡아핑 팔레스타인평화연대 황수영 참여연대 활동가와 함께 |
| 6:00 | 폐막식 당신이 있어, 흐르는 폐막작 바위를 부수고 Cutting Through Rocks AZ TR F KS KSL 93′ * 대화의 시간 나영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 대표 랑희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폐막사회 이도, 채은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 폐막인사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들 폐막선언. |
| 12월 | |
| 7일 | 일요일 3관 . |
| 1:30. . | 장난이 아닌 Not a Joke K KS 14′ * 대화의 시간 기찻길옆작은학교 중등부 희우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
| 3:00 ~4:00 | 개막작 <에디 앨리스: 테이크> 이야기 마당기찻길김일란 감독 앨리스 주인공 박한희 무지개행동 공동대표 희우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
| 4:30. . | 백개의 광장, 만개할 평등 The Hundred Squares, The Blooming Equalities K KS KSL 30′ * 대화의 시간 고주영 프로듀서 몽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집행위원장 고운 서울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
* 원어
K 한국어 Korean E 영어 English T 타갈로그어 Tagalog J 일본어 Japanese M 중국어(만다린어) Mandarin chinese A 아랍어 Arabic AZ 아제르바이잔어 Azeri TR 터키어 Turkish F 페르시아어 Farsi
* 자막
KS 한국어자막 Korean Subtitles
KSL 한국수어통역을 넣은영상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ncluded
KAD 한국어 음성 해설 Korean Audio Description
•TA 대화의 시간 Talk with the Audience
함께하는 자리 대화의 시간 인천인권영화제에서 상영하는 모든 작품은 상영 후 감독, 출연진, 인권활동가, 관객들과 함께 대화의 시간이 진행(40여 분)됩니다.
모든 상영작은 한국어자막해설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의 시간은 문자통역, 수어통역과 함께 진행합니다.
* 영화 제목을 누르시면 해당 상영작 정보로 이동합니다.
* 30회 인천인권영화제 ‘올해의 인권의 얼굴들’
말벌’이라 부르는 당신
퀴어팔레스타인연대 QK48.
윤석열 퇴진 사회대개혁 비상행동 시민 미디어팀
컬처팩토리에서는
손으로 빚는 몫소리
사람을 생각하는 한땀한땀, 마음을 이어주는 한코한코, 다르게 만드는 뚝딱뚝딱 전시와 만들기! 차강 바느질 작가와 함께
기억으로 빚는 일상 그리움을 잇고 이야기를 엮는 세월호 엄마아빠들이 만드는 소품과 코르크 그림그리기를 4.16 기억상점과 함께
캠페인 부스 유랑단(a.k.a 페미유랑단) · 여성주의와 반성폭력 의제로 인권을 이야기하는 나만의 응원봉 만들고, 사회에 바라는 가치를 알리자!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함께
책으로 만나는 인권
인천인권활동가들이 권하는 다양한 인권서적들을 만날 수 있는 인권책방
선전, 서명 및 전시 · 여러 인권 현실과 대안에 대한 선전과 전시
누구든지 함께 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기 위해
장애인 접근권 확보를 위한 노력
비장애인 중심으로 설계된 세상, 인천인권영화제 역시 ‘비장애인 중심적’인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많이 미흡하지만 장애인 접근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상영하는 모든 작품은 한국어자막해설을 넣어 상영합니다. 자막해설은 영화의 대사와 소리정보를 담은 자막입니다. KSL이 표기된 작품은 한국수어통역을 넣어 상영합니다. 개·폐막 행사 및 대화의 시간은 문자통역과 한국수어통역이 함께합니다.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 자리를 위해 무료상영으로 진행됩니다.
충분한 시설과 상영 및 진행조건을 갖추진 못했으나 앞으로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수어통역 한국농인LGBT+
이래봄
문자통역 에이유디 사회적협동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