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 : 인인영 돌봄프로젝트 인잇길잇303!’이음씨 ‘김혜진’의 응원메시지
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자신의 노동을 아끼고 자부심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 그러나 불안정한 노동의 현실, 그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 힘쓰는 사람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사회를 더 인권적으로 만들어왔던 그 힘이 더 묵직해질 수 있게 함께해 주세요.
김혜진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
자신의 노동을 아끼고 자부심을 갖고 일하는 사람들, 그러나 불안정한 노동의 현실, 그 현실을 바꾸기 위해서 힘쓰는 사람들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사회를 더 인권적으로 만들어왔던 그 힘이 더 묵직해질 수 있게 함께해 주세요.
류은숙 인권연구소 ‘창’
인권활동의 곁을 이루는 울타리는 사회라는 것, 사회가 만들고 키워갈 소중한 가치를 지켜냅니다. 이쑤시개하나, 나무젓가락 하나처럼 혼자로는 앙상해보여도 함께 모이면 튼튼한 울타리가 됩니다.
| 인천, 사람이 산다-인천인권영화제 공모작 | 존엄을 외쳐요! Cry out for Dignity! 감독 : 심상범제작연도 : 2023년장르 : 다큐멘터리언어 : 한국어 한국어자막해설상영시간 : 26분 상영일시 : 2024.11.30. (토) 오후 6:10 상영장소… 더 보기 »존엄을 외쳐요! 💬
랄라 다산인권센터
온몸을 달구는 뜨끈한 온도 30도. 그 온도처럼 뜨거운 마음으로 30년간 인권의 현장, 저항의 스크린을 달궈온 인천인권영화제.
인천인권영화제 30년, 이제는 우리가 인천인권영화제를 뜨겁게 사랑해야 할 시간입니다.
이진희 장애여성공감
집요하게 토론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영화 속 존재들의 몸과 삶을 만나고 잇는 현장, 인천인권영화제.
날카롭게 다정하게~ 오, 이게 동시에 되네요!
김수목 감독
인천인권영화제에서 상영한 작품 중 한 작품을 빼고는 모두 인천 부평 한국지엠 비지회(비정규직지회) 동지들의 투쟁과 일상을 기록한 작품인데, 기록된 내용을 밖으로 꺼내어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게 해 준 시작이자 힘이 인천인권영화제입니다.
숨 쉴 수 있는 곳, 웃고 울고 싶은 곳, 사람 냄새 나는 곳이 그립다면 지금 바로 인천인권영화제 키미가 되어주세요.
장예정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어떤 영화 한 편이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기도, 또 어떤 영화는 세상의 흐름을 바꾸기도 합니다.
누군가의 삶을, 어쩌면 세상을 바꾸는 상영활동을 하는 인인영의 키미가 되어주세요!
타리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
제가 생각하는 퀴어는 정체성이 아니라 질서로부터 밀려나는 위치나 체제와 불화하고자 하는 의지에 가까운 것 같아요.
(인천인권영화제도 참 퀴어하네요?!)
장종인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
결국 더 많은 사람들이 장애인차별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인천인권영화제가 장애인차별, 인권문제의 관심을 넓히는데 항상 큰 힘이 되어왔다고 생각합니다. 인천인권영화제가 더욱더 크고 지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키미가 되어주세요.
차강 바느질 작가, 사람을 생각하며 한땀한땀, 마음을 이어 한코한코 떠가는 사람
인천인권영화제와 만나며 손으로 한땀한땀, 소중한 만남이 이어집니다. 앞으로도 3년..10년..30년을 이어 걸어갈 수 있도록 든든한 키미가 되어 함께해 주세요 : )
이란희 감독
인천인권영화제가 저항의 스크린을 지킬 수 있도록 ‘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 인인영 돌봄 프로젝트: 인잇길잇 303’에 함께 해주세요. 300인의 키미(인권영화제 후원인) 중 한 분이 되어주세요. 저도 키미가 되기로 했답니다.^^
박한희
대화의 시간 단골출연자, 무지개행동 공동대표
인천인권영화제에 참여할 때마다 영화를 통해, 그리고 사람들과의 만남과 대화를 통해 인권의 현장을 배워왔습니다. 30년이라는 시간이 쌓아온 인권의 역사가 50년, 100년 이어질 수 있게 해주세요.
주현숙 감독
소중하다는 말로는 많이 부족합니다.
이상하게 감독과 관객은 서로 응원과 지지를 보내고 자신의 존재의 이유를 확인합니다.
모두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들 덕분입니다. 이 시공간이 계속 됐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다시 작업할 수 있는 힘을 얻듯 당신도 이곳에서 응원과 지지, 존재의 이유를 확인하길 바랍니다.
김진숙
인권영화, 내게는 멜로영화들이다.
거대한 사랑의 이야기들
타락하지 않고 비뚫어지지 않고 살아내서 이런 얘기들을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구나 싶고.
생생하게 역사를 전달하게 해준 영화들에 뒤늦은 감사를 전한다.
섹 알 마문 감독
“질문하고, 기록하며 끝내 잊히지 않도록”
사람들의 얼굴을 비춰온 이 영화제는 단순한 ‘상영’의 자리가 아니라, 함께 숨 쉬는 ‘증언의 광장’이었습니다.
이제, 우리의 이야기가 꺼지지 않도록 당신도 누군가에게 ‘키미’가 되어 주세요. 작고 따뜻한 불씨 하나가, 또 다른 사람의 밤을 밝혀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함께일 때 더 밝게 빛납니다 !
🏳️🌈공존을 위한 영상·자유를 향한 연대 30회 인천인권영화제The 30th INcheon HUman RIghts Film Festival 2025.12.2.Tue.-7.Sun. [인천-사람이 산다] 섹션 작품공모 🌿공모일정 2025.9.1.(월) – 2025,10.1.(수) 자정 🌿출품내용 인천… 더 보기 »30회 인천인권영화제 인천섹션 작품 공모 알림
오매 활동가 · 한국성폭력상담소
“키미가 뭐죠? Key-Me… 나를 여는 열쇠?“
인권영화제는 좀 달라요. 어떤 인권문제에 매달려 있는 고민, 사유, 관계, 시간의 레이어를 보여주거든요. 어느 순간 상영관에서 눈물이 터지는데요. 쌓여온 인권감정을 만나는, 낯선 인권사람을 처음 만나는 시간입니다. 이런 시공간이 없다면 인권운동은 어떻게 계속될 수 있을까요.
30년 인권영화의 장을 만들어온 인천인권영화제!
초대장을 받았으니, 나도 너도 정기후원자 키미가 되어 볼까요?
어 근데 키미가 뭐죠? key-me 나를 여는 열쇠….?
하샛별 Saet Byul Ha 감독 · 현장을 지키는 카메라에게 힘을
‘100주년까지 가능하지 않겠냐’는 말에 인인영 활동가들 오열하며 쓰러져
존엄·평등·연대 – 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 인인영 돌봄 프로젝트: 인잇길잇 303사람과 공존, 평화와 인권의 역사를 잇다. 저항과 새로운 세계를 향한 길을 잇다. 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 살만한 세상과 인권영화제를 이어가고자 300인의… 더 보기 »‘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인인영 돌봄프로젝트 인잇길잇 303’을 시작합니다!
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 인인영 돌봄 프로젝트: 인잇길잇 303 사람과 공존, 평화와 인권의 역사를 잇다.저항과 새로운 세계를 향한 길을 잇다. 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 살만한 세상과 인권영화제를 이어가고자 300인의 키미(인천인권영화제… 더 보기 »인잇길잇 303에 함께 하기 · 굿즈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