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인권영화제 30주년 : 인인영 돌봄프로젝트 인잇길잇303!’이음씨 ‘김진숙’의 응원메시지
김진숙
인권영화, 내게는 멜로영화들이다.
거대한 사랑의 이야기들
타락하지 않고 비뚫어지지 않고 살아내서 이런 얘기들을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구나 싶고.
생생하게 역사를 전달하게 해준 영화들에 뒤늦은 감사를 전한다.
김진숙
인권영화, 내게는 멜로영화들이다.
거대한 사랑의 이야기들
타락하지 않고 비뚫어지지 않고 살아내서 이런 얘기들을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구나 싶고.
생생하게 역사를 전달하게 해준 영화들에 뒤늦은 감사를 전한다.
섹 알 마문 감독
“질문하고, 기록하며 끝내 잊히지 않도록”
사람들의 얼굴을 비춰온 이 영화제는 단순한 ‘상영’의 자리가 아니라, 함께 숨 쉬는 ‘증언의 광장’이었습니다.
이제, 우리의 이야기가 꺼지지 않도록 당신도 누군가에게 ‘키미’가 되어 주세요. 작고 따뜻한 불씨 하나가, 또 다른 사람의 밤을 밝혀줄 수 있습니다.
우리는 함께일 때 더 밝게 빛납니다 !
오매 활동가 · 한국성폭력상담소
“키미가 뭐죠? Key-Me… 나를 여는 열쇠?“
인권영화제는 좀 달라요. 어떤 인권문제에 매달려 있는 고민, 사유, 관계, 시간의 레이어를 보여주거든요. 어느 순간 상영관에서 눈물이 터지는데요. 쌓여온 인권감정을 만나는, 낯선 인권사람을 처음 만나는 시간입니다. 이런 시공간이 없다면 인권운동은 어떻게 계속될 수 있을까요.
30년 인권영화의 장을 만들어온 인천인권영화제!
초대장을 받았으니, 나도 너도 정기후원자 키미가 되어 볼까요?
어 근데 키미가 뭐죠? key-me 나를 여는 열쇠….?
하샛별 Saet Byul Ha 감독 · 현장을 지키는 카메라에게 힘을
‘100주년까지 가능하지 않겠냐’는 말에 인인영 활동가들 오열하며 쓰러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