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매일 (Us, Day by Day)
페미니즘이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며 페미니즘 책이 주목을 받고 불길… Read More »우리는 매일매일 (Us, Day by Day)
페미니즘이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며 페미니즘 책이 주목을 받고 불길… Read More »우리는 매일매일 (Us, Day by Day)
세월호 참사는 피해자와 그의 가족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사건이자 아픔이다. 2014년 4월 16일로부터 5년이 흐른… Read More »당신의 사월 (Yellow Ribbon)
수어가 언어인 농인들은 손으로 말한다. 청인 중심의 세계에서는 소리가 아닌 손으로 말하는 것을 금하고 없애려… Read More »손으로 말하기까지 (Seeing Voices)
미국 보스턴에는 성소수자 청소년들의 극단 ‘트루 컬러’가 있다. 이곳에서 단원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고민을 풀어낸 연극을… Read More »그 해 우리는 사랑을 생각했다 (The Year We Thought about Love)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변호사 아니타 힐은 과거 직장 상사였던 대법원장 후보자 클레런스 토마스의 청문회에서 그의… Read More »아니타 힐 (Anita)
자유와 희망의 삶을 찾아 목숨 걸고 북한을 떠난 사람들이 또다시 제3국으로 떠났다. 무엇이 이들을 그… Read More »북도 남도 아닌 (Why I Left Both Koreas)
17년째 한국에서 살고 있는 까우살은 미등록 이주노동자이다. 얼마 전에 결혼한 까우살의 아내 누스랏은 한국에서 짧은… Read More »세컨드 홈 (Second Home)
체르노빌 4번 원자로 주변 방사능 피폭 지역에는 저항적 삶을 이어나가는 할머니들이 살고 있다. 왜 이… Read More »체르노빌의 할머니들 (The Babushkas of Chernobyl)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 ‘리틀보이’가 투하된다. 그곳에 있던 한 여성은 귀향 후 ‘리틀보이’ 김형률을… Read More »리틀보이 12725 (Little Boy 12725)
금속노조 KEC지회는 2010년 파업 이후 회사의 탄압과 차별로 소수노조가 되면서 교섭대표 지위를 잃었다. 그 한계를… Read More »깃발 창공 파티 (Flag, Blue Sky, Party)
도심 곳곳을 오르락내리락하는 열차에 올라타는 끝도 없는 사람들. 모두 잰걸음으로 땅 위 삶을 향해 지하를… Read More »언더그라운드 (Underground)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HIV/AIDS 감염인들의 에이즈에 대한 동등한 의료 권리를 위한 투쟁의 기록. 낙인과… Read More »감염된 여자들 (Nothing Without Us: The Women Who Will End AIDS)
1974년 8월 30일 도쿄 중심에 있는 미쓰비시중공업 빌딩에서 시한폭탄이 폭발했다. 연달아서 ‘일제 침략 기업’에 대한… Read More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East Asia Anti-Japan Armed Fr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