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회 상영일정

24/목영화공간 주안 4관
7:00













개막식〈 싸우는 몸, 애도의 시간 : 거리에 서 〉
개막영상 27회 인천인권영화제 트레일러
개막사회 애린* 이음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주* 한국청소년·청년커뮤니티알,
투쟁하는 성소수자 부부 남편1
치명타 인천인권영화제
개막작  [두 사람] 
Life Unrehearsed (K D KS ES TA 80′)
○ 대화의 시간 
반박지은 감독
김순남 가족구성권 연구소 대표,
‘가족을 구성할 권리’ 저자
소주* 한국 청소년·청년 감염인 커뮤니티 알,

남편이 있는 남편
희우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25/금영화공간 주안 4관
7:30






[홈그라운드]
Home Ground (K KS ES TA 78’)
대화의 시간 
권아람 감독
터울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소식지팀장
호림 행동하는성소수자인권연대 상임활동가
미니미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26/토영화공간 주안 4관
1:30
.
.
.
.
.
[돌들이 말할 때까지
Until The Stones Speak (K KS ES TA 100′)
대화의 시간
김경만 감독
백가윤 전 (사)제주다크투어 대표
신석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5:00

.
.
.
.
.
[뼈] 
The Bone (K J KS ES TA 69′)
대화의 시간
마민지 코로나19위중증피해 유가족, 독립영화감독
정부자 (사)4.16가족협의회 추모부서장
(신호성님 엄마)
랑희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7:30
..
.
.
.
.
[당신과 나를 잇는 법] 
What bonds us (K KS KSL TA 81’)
대화의 시간
윤누리, 여인서, 재원, 임수빈 감독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기선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27/일영화공간 주안 4관
1:20
.
.
.

.
.
[비상구 있는 집]  
Home with the Exit (K KS TA 60’)
대화의 시간
장주영 감독
김광백 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수진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3:30
.
.
.
.
[네임리스 신드롬
Nameless Syndrome (K KS ES TA 24’)
대화의 시간
김영옥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연구활동가
넝쿨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5:30





.
.
.
.
.
.
.
.

.
.
폐막식〈 싸우는 몸, 애도의 시간 : 거리에 서 〉
폐막작  [같이 비를 맞으며]
Strike For All (K KS KSL TA 35’)
대화의 시간
김설해 감독
유최안*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
김진숙* 금속노조 한진중공업 복직노동자
랑희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특별상영
폐막사회 밍고, 지니 인천인권영화제
폐막공연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몸짓패 ‘도크게이트’,
퀴어댄스팀 ‘큐캔디’ 합동공연
폐막인사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
폐막선언.
24/목


















25/금영화공간 주안 3관
8:00





..
[로힝야를 거닐다
Wandering, A Rohingya Story

(R KS KSL 87’).




26/토영화공간 주안 3관
3:00..
.
.
.
.
.
[애프터 미투]
#AfterMeToo (K KS KSL 85’)
대화의 시간
강유가람, 박소현 감독
오매 한국성폭력상담소 소장
센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6:00











..
.
[긱 이즈 업]
The Gig is Up (E C F KS KSL 88’)
대화의 시간
윤지영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머큐리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27/일영화공간 주안 3관
1:30.
.
[이것은 노르웨이만의 문제가 아니다]
Norwegian Headache (N KS KSL 58’)
2:50



.
.
[무브@8PM]
MOVE@8PM (K KS ES KSL 86’)
○ 무대인사 
정가원 감독
김유스, 돌, 이안 큐캔디 멤버
밍고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와 함께
.
..
.
.
.
.
.
..
.
.
.
.
.
.
.
.

.
.
.
.
▶ 원어
K 한국어 Korean  E 영어 English 

C 중국어 Chinese D 독일어 Deutsch
F 프랑스어 French J 일본어 Japanese 
N 노르웨이어 Norwegian 
R 로힝야어 Rohingya

자막
KS 한국어자막 Korean Subtitles
ES 영어자막 English Subtitles
KSL 한국수어통역이 삽입된 영상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ncluded
TA 대화의 시간 Talk with the Audience

* 27회 인천인권영화제 ‘올해의 인권의 얼굴들’
애린 소주 오소리 유최안 김진숙


장애인접근권을 위해 모든 상영작은
한글자막과 함께, 관객과의 대화의 시간은
문자통역, 수어통역과 함께 진행됩니다.

.


컬처팩토리에서는

손으로 빚는 몫소리
사람을 생각하는 한땀한땀, 마음을 이어주는 한코한코, 다르게 만드는 뚝딱뚝딱 전시와 만들기!
차강 바느질작가와 함께

기억으로 빚는 일상
그리움을 잇고 이야기를 엮는 세월호 엄마아빠들이 만드는 소품,
4.16 기억상점과 함께

자연과 공존하는 일상
직접 만든 친환경 비누와 샴푸, 립밤을 만날 수 있는 시간!
허브 영상활동가와 함께 

책으로 만나는 인권
인천인권영화제 활동가들이 권하는 다양한 인권서적들을 만날 수 있는 인권책방

현장을 지키는 카메라에게 힘을
미디어 활동가들이 건강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선전, 서명 및 전시
여러 인권 현실과 대안에 대한 선전과 전시 등을 진행합니다.


누구든지 함께 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기 위해

장애인 접근권 확보를 위한 노력
비장애인 중심으로 설계된 세상, 인천인권영화제 역시 ‘비장애인 중심적’인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많이 미흡하지만 장애인 접근권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상영하는 모든 작품은 한국어자막과 함께 상영됩니다. 
개·폐막 행사 및 대화의 시간 진행시 문자통역과 수어통역이 있습니다. 

충분한 시설과 상영 및 진행조건을 갖추진 못했으나 앞으로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누구나 차별 없이 함께 할 수 있도록 무료상영으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