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드랍게 Comfort ⚫
박문칠 | 2020 | 다큐 | 73분 | 한국 | K KS KSL 일본군 성노예 생존자였던 김순악. 전쟁 후 마마상, 식모, 엄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더 보기 »보드랍게 Comfort ⚫
박문칠 | 2020 | 다큐 | 73분 | 한국 | K KS KSL 일본군 성노예 생존자였던 김순악. 전쟁 후 마마상, 식모, 엄마 등 다양한 이름으로… 더 보기 »보드랍게 Comfort ⚫
김정인|2020 | 다큐 | 99분 | 한국 | K KS KSL 서울 강서구에 특수학교를 설립하려 하지만 국립 한방병원 유치를 원하는 주민과 정치인의 반대로 만 5년이… 더 보기 »학교 가는 길 A Long Way to School ⚫
이란희|2020 | 극영화 | 81분 | 한국 | K KS 1882일째 투쟁을 이어가는 해고노동자들이 해고무효소송에서 패소했다. 끝을 알 수 없는 투쟁에 대한 불안과 낙심한 마음을… 더 보기 »휴가 A Leave ⚫
알렉시스 클레먼츠 | 2019 | 다큐 | 67분 | 미국 | E KS 미국에서 퀴어여성의 공간이 사라지고 있다. 이 공간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며 서로… 더 보기 »우리에게 남은 공간 All We’ve Got ⚪⚫
시비아 타마킨 | 2017 | 다큐 | 101분 | 미국 | E KS 2010년 이후 미국 주 정부, 법원, 종교 집단들이 결탁해 ‘생명권 대 선택권’… 더 보기 »낳을 권리, 낳지 않을 권리 Birthright: A War Story ⚫
타니아 시프리아노 | 2019 | 다큐 | 92분 | 미국 | E KS 미국에서도 몇 안 되는 트랜스젠더를 위한 종합건강센터인 마운트 사이나이 센터. 트랜스젠더로서 존중받길… 더 보기 »본 투 비 Born To Be ⚪⚫
김정근 | 2020 | 옴니버스 다큐 | 20분 | 한국 | K KS KSL 35년을 미뤄온 ‘이기적’ 복직 투쟁을 시작하는 한진중공업 용접공, 김진숙. 그는 오래된… 더 보기 »내가 싸우듯이 As I Fight ⚪⚫
김도준 김미영 김승화 | 2020 | 다큐 | 180분 | 한국 | K KS KSL 2019년 7월, 공기업 정규직화 과정에서 자회사로의 전환을 반대하는 톨게이트 요금… 더 보기 »보라보라 Bora Bora ⚪⚫
김은석 | 2020 | 다큐 | 40분 | 한국 | K KS 수협중앙회는 서울시가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한 옛 노량진수산시장을 현대화하여 보존한다는 명분으로 강제철거하고 상인들을 강제이주 시켰다.… 더 보기 »시장으로 가는 길 Stairway to Noryangjin Fish Market ⚪⚫
장호경 | 2020 | 다큐 | 41분 | 한국 | K KS KSL 2월 대구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다. 집단감염으로 인해 일상이 위협받은 장애인들과 그들을… 더 보기 »감염병의 무게 The weight of Virus ⚪⚫
오소영 | 2020 | 다큐 | 85분 | 한국 | J KS ES 칼럼니스트 이신혜(재일한국인 2.5세)는 헤이트 스피치 단체를 상대로 소송을 시작한다. 한복을 입고 법정에… 더 보기 »더 한복판으로 The Hanbok on the Court ⚪⚫
페미니즘이 최근 몇 년간 한국 사회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며 페미니즘 책이 주목을 받고 불길 같은 미투 운동도 일어났다. 동시에 페미니즘을 향한 역풍도 거센 상황에서,… 더 보기 »우리는 매일매일 (Us, Day by Day)
세월호 참사는 피해자와 그의 가족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사건이자 아픔이다. 2014년 4월 16일로부터 5년이 흐른 지금까지 우리는 세월호 참사와 함께 어떤 삶을 살아왔을까? 목격자로서 우리에게… 더 보기 »당신의 사월 (Yellow Ribbon)
수어가 언어인 농인들은 손으로 말한다. 청인 중심의 세계에서는 소리가 아닌 손으로 말하는 것을 금하고 없애려 한다. 그에 맞서 농인들은 손으로 말하며, 자신의 세계를 만들어간다. [차이에… 더 보기 »손으로 말하기까지 (Seeing Voices)
미국 보스턴에는 성소수자 청소년들의 극단 ‘트루 컬러’가 있다. 이곳에서 단원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고민을 풀어낸 연극을 준비한다. 연극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긍정하는 과정을 만든 이들은… 더 보기 »그 해 우리는 사랑을 생각했다 (The Year We Thought about Love)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변호사 아니타 힐은 과거 직장 상사였던 대법원장 후보자 클레런스 토마스의 청문회에서 그의 성폭력을 폭로한다. ‘피해자다움’을 강요하는 사회에 저항하며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아니타… 더 보기 »아니타 힐 Anita
자유와 희망의 삶을 찾아 목숨 걸고 북한을 떠난 사람들이 또다시 제3국으로 떠났다. 무엇이 이들을 그 먼 유럽까지 밀어냈을까? 북과 남,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이들의 이야기를… 더 보기 »북도 남도 아닌 (Why I Left Both Koreas)
17년째 한국에서 살고 있는 까우살은 미등록 이주노동자이다. 얼마 전에 결혼한 까우살의 아내 누스랏은 한국에서 짧은 신혼생활을 보내고, 혼자 방글라데시로 돌아간다. 한국을 떠나지 못하는 까우살에게 ‘Home’은… 더 보기 »세컨드 홈 (Second Home)
체르노빌 4번 원자로 주변 방사능 피폭 지역에는 저항적 삶을 이어나가는 할머니들이 살고 있다. 왜 이 할머니들은 원전 사고 후 정부의 통제를 어기고 방사능 피폭 위험을… 더 보기 »체르노빌의 할머니들 (The Babushkas of Chernobyl)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폭탄 ‘리틀보이’가 투하된다. 그곳에 있던 한 여성은 귀향 후 ‘리틀보이’ 김형률을 낳는다. 원자폭탄 피해 2세를 대한민국 최초로 알린 김형률의 12725일간의 생의… 더 보기 »리틀보이 12725 (Little Boy 12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