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비를 맞으며 Strike For All
작품해설 대우조선해양의 하청 노동자들이 힘들고 위험한 작업장, 낮은 임금과 장시간 노동을 견뎌온 오랜 시간 동안 잃었던 권리를 찾기 위해 노동조합에 가입하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2022년,… 더 보기 »같이 비를 맞으며 Strike For All
작품해설 대우조선해양의 하청 노동자들이 힘들고 위험한 작업장, 낮은 임금과 장시간 노동을 견뎌온 오랜 시간 동안 잃었던 권리를 찾기 위해 노동조합에 가입하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다. 2022년,… 더 보기 »같이 비를 맞으며 Strike For All
석유 수출이 주요 산업인 노르웨이는 환경에 대한 권리를 헌법에 명시하고 있다. 노르웨이 정부가 기업에 북극에서 석유 시추를 보다 광범위한 범위로 허용하자 청소년 활동가, 조부모 기후행동… 더 보기 »이것은 노르웨이의 문제만이 아니다 Norwegian Headache
2017년 미얀마 정부의 집단학살을 피해 70만 명의 로힝야족이 방글라데시로 망명을 신청한다. 세계에서 가장 큰 쿠투팔롱의 로힝야족 캠프. 사람들은 이곳에서 일상을 살아가면서도 지워지지 않는 이야기를 꺼낸다.… 더 보기 »로힝야를 거닐다 Wandering, A Rohingya Story
퀴어 댄스팀 큐캔디 멤버 이안과 돌, 김유스는 보안 검색 감독관, 이공계 대학원생, 장애인 인권 운동가로서 각자의 삶을 치열하게 살아내는 한편, 무대 위에서 춤을 추며 자신을… 더 보기 »무브@8PM MOVE@8PM
원인을 알 수 없는 통증, 이름 없는 질병. 이를 앓는 것은 대부분 여성이다. 그녀들의 육체적·정신적·사회적 고통이 떠다니는 문장들과 엮인다. 영화는 이미지에 스민 권력의 작동을 의식하게… 더 보기 »네임리스 신드롬 Nameless Syndrome
아키타 지역의 댐 공사에 희생된 조선인을 기리기 위한 히메관음상은 50여 년 동안 은폐되었고, 광산 붕괴사고로 매몰된 희생자 위령비는 채굴 작업에 방해된다며 옮겨졌다. 조선인 징용의 역사를… 더 보기 »뼈 The Bone
미투 운동이 한국 사회를 거세게 뒤흔든 지 3년, 우리 사회는 얼마나 달라졌을까. 백래시와 남성 연대의 힘은 여전하고, 가부장제와 성차별 구조는 공고하기만 한 현실 속에서, 이… 더 보기 »애프터 미투 #AfterMeToo
2030 퀴어페미니스트 감독들은 일상의 공간에서 차별을 들여다보기로 한다. 영화는 사적 서사에 기반하여 임신 중단과 정신병에 대해 말하고, 다른 세대와 차별의 경험을 포개며, 당사자와 비당사자를 가르는… 더 보기 »당신과 나를 잇는 법 What bonds us
70년대 퀴어들의 은밀한 아지트였던 명동의 ‘샤넬’, 96년 오픈한 최초의 레즈비언 바 ‘레스보스’, 2000년대 초 10대 퀴어들의 신촌 공원. 그리고 ‘레스보스’를 20년째 지키며 퀴어의 노년을 맞이한… 더 보기 »홈그라운드 Home ground
기술혁명으로 인한 플랫폼 경제는 새로운 일상을 만들고 세계적으로 그 규모가 5조 달러를 돌파했다. 플랫폼 경제의 기반인 AI는 인간의 노동 없이 유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자본은 초과수익을… 더 보기 »긱 이즈 업 The Gig is Up
앙상한 국가기록물 속에서는 찾을 수 없는 4.3이 다섯 할머니의 담담하고 때때로 격정적인 이야기 속에서 비로소 재현된다. 이 중 네 명은 4.3으로 전주형무소로 보내졌다. 당시 20대였던… 더 보기 »돌들이 말할 때까지 Until the Stones Speak
‘탈시설’ 이후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두 사람을 따라가며 인간적인 삶의 조건을 곱씹는다. 언제든 밖과 연결된 문을 열 수 있고, 먹고 자는 시간을 선택하고, 삶을 지원하는 동료… 더 보기 »비상구 있는 집 Home with the Exit
인천인권영화제의 목표와 원칙 ‘표현의 자유, 인권감수성 확산, 인간과 공존을 위한 대안영상 발굴’을 목표로 하는 인천인권영화제가 1996년 첫 스크린을 펼친 이후 어느덧 29회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표현의 자유를… 더 보기 »인천인권영화제 소개
Incheon Human Rights Film Festival인천인권영화제 10월 정기상영회2022년 10월 14일 금요일 오후 7시 영화공간주안 4관 무브@8PM MOVE@8PM 무브@8PM / MOVE@8PM정가원 | 2022 | 다큐 | 84분… 더 보기 »인천인권영화제 10월 정기상영회 ‘MOVE@8PM’ (10.14 금/영화공간주안)
27회 인천인권영화제를 함께 열기 위한 활동 첫번째! 농인 청인 모두 함께하는 27회 인천인권영화제 만들기 27회 인천인권영화제 상영작 중 두편에 수어영상을 넣고, 영화제 기간동안 수어통역과 함께… 더 보기 »‘농인 청인 모두 함께하는 27회 인천인권영화제 만들기’ 후원 모금, 함께하고 응원해 주세요!
Incheon Human Rights Film Festival인천인권영화제 9월 정기상영회2022년 9월 4일 일요일 오후 3시 영화공간주안 3관 로 대 웨이드가 전복된 시점에서 다시 보는 낳을 권리, 낳지 않을… 더 보기 »로 대 웨이드가 전복된 시점에서 다시 보는 ‘낳을 권리, 낳지 않을 권리’ 카드뉴스
Incheon Human Rights Film Festival인천인권영화제 9월 정기상영회2022년 9월 4일 일요일 오후 3시 영화공간주안 3관 로 대 웨이드가 전복된 시점에서 다시 보는 낳을 권리, 낳지 않을… 더 보기 »인천인권영화제 9월 정기상영회 ‘낳을 권리, 낳지 않을 권리’ (9.4 일요일/영화공간주안)
Incheon Human Rights Film Festival인천인권영화제 6월 정기상영회2022년 6월 30일 목요일 오후 7시30분 영화공간주안 3관 #387 마들렌 르로이어 l 2019 l 다큐멘터리 l 61분 l 프랑스,… 더 보기 »인천인권영화제 6월 정기상영회 #387 (6.30 목/영화공간주안)
27회 인천인권영화제 소금활동가 모집기간과 인권학습 및 워크샵 일정 변경을 알립니다. 소금활동가 지원은 6월 30일까지이며, 일정은 7월 5일부터 8월 2일까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30분으로 다음과… 더 보기 »27회 인천인권영화제 소금활동가 모집기간(~6.30)과 인권학습 및 워크샵 일정 변경을 알립니다.
공존을 위한 영상, 자유를 향한 연대27회 인천인권영화제The 27th Incheon Human Rights Film Festival (2022.11.24~27) 인천인권영화제 소금활동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6월 17일까지) 소금활동가 지원하러 가기지원양식 : https://me2.kr/b28y5… 더 보기 »27회 인천인권영화제 소금활동가 모집 (~6월 17일)